[오마이건설뉴스-이운주기자]올 3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보다 22.4% 감소한 4,323만㎡, 동수는 0.4% 감소한 6만9,874동으로 나타났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1,799만8천㎡으로 38.2% 감소했으며, 지방은 2,523만1천㎡으로 5.1% 줄었다.
착공면적은 2.6% 감소한 3,548만9천㎡, 동수는 0.8% 감소한 5만7,814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726만6천㎡(1.4%↓), 지방 1,822만3천㎡(3.7%↓)이다.
준공면적은 4.3% 감소한 3,188만㎡, 동수는 2.4% 감소한 5만4,435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468만3천㎡(8.2%↓), 지방 1,719만7천㎡(0.8%↓)이다.
건축 허가면적은 주거용 1,843만4천㎡, 상업용 1,202만7천㎡, 문교사회용은 236만2천㎡로서 각각 35.5%, 3.2%, 6.6% 감소했고, 공업용은 475만2천㎡로서 7.4% 증가했다.
착공면적은 주거용 1,530만4천㎡, 상업용 929만4천㎡, 공업용은 405만1천㎡로서, 각각 3.4%, 4.9%, 6.2% 감소했고, 문교사회용은 176만㎡로서 9.5% 증가했다.
준공면적은 주거용 1,309만9천㎡, 상업용 917만3천㎡로서 각각 1.0%, 6.7% 감소한 반면, 공업용은 406만3천㎡, 문교사회용은 192만7천㎡으로 각각 11.0%, 2.3% 증가했다.

◇3분기 주요특징 = 우선, 전년 동기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허가, 착공, 준공 면적 모두 각각 35.5%, 3.4%), 1.0% 감소했다.
허가면적 감소는 전년대비 실적으로서, 지난해에 허가면적이 많았던데 기인하는 것이며, 지지난해에 비해서는 증가한 것이다.
허가면적의 경우 수도권 및 지방 모두 각각 51.7%, 16.8% 감소했으나, 착공면적은 수도권 1.9% 증가한 반면, 지방은 8.5% 감소했다.
이와 함께, 전년 동기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허가, 착공, 준공 면적 모두 각각 3.2%, 4.9%, 6.7% 감소했다.
건축허가는 기타 상업용 건축물, 착공은 판매시설, 준공은 기타 상업용 건축물의 감소율이 높았다.
그리고, 아파트의 허가 면적은 45.6% 감소했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시, 경기도, 인천광역시는 모두 각각 76.6%), 59.2%, 50.5% 감소했다. 지방의 경우 전라북도, 충청북도의 면적이 각각 75.8%, 71.2% 감소했으나 경상남도는 111.8% 증가했다.
주요 건축물(아파트)의 허가사항은 수도권의 경우, ▲인천시 남구 주안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22동, 27만7천㎡) ▲경기도 오산시 외삼미동 서동탄역 더샵 파크시티(18동, 23만8천㎡) 등이며, 지방은 ▲광주광역시 북구 우산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25동, 25만5천㎡)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동지구 유니시티 4단지(12동, 21만7천㎡) 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