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9대 대한건설협회 회장 누가 적합한가?-②
상태바
제29대 대한건설협회 회장 누가 적합한가?-②
  • 오세원 기자
  • 승인 2023.12.13 05: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협회, 도급시공 중소 및 중견건설업체 최후의 보루
시공능력 순위 10위권안 오너가 회장직 맡는 것은 바람직
지역 중소건설사 목숨줄 '4.3억 구간+3년' 대기업 전문경영인 노관심

협회장 하려면 기업 규모가 커야 하는가?-②

대한건설협회장은 과거 삼부토건 조남욱 회장, 동아건설 최원석 회장 등 대기업에서 추대 또는 선출되다가, 2000년대 이후로는 권홍사 반도건설 회장, 마형렬 남양건설 회장, 최삼규 이화공영 회장, 김상수 한림건설 회장 등 중견기업에서 선출되었다. 2017~2020년 회장을 역임한 유주현 전 회장의 신한건설도 시공능력평가 순위 683위였다.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는 “대한건설협회장은 시공능력으로 뽑는 자리가 아니나, 대외적인 측면에서 시공능력 순위 10위권 안의 사세가 큰 기업 오너가 회장직을 맡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견해를 피력했다.

반면, 대한건설협회는 대·중·소업체가 모두 가입되어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중소 및 중견업체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대형 종합건설사가입 가능한 단체한국건설경영협회해외건설협회가 별도 조직으로 존재한다. 또 아파트를 주력으로 하는 대기업은 한국주택협회가 존재한다.

따라서 또다른 관계자는 “대한건설협회는 기본적으로 도급시공을 주로 하고 있는 중소 및 중견 건설업체의 버팀목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협회장에 출마한 두 후보의 회사 규모를 보면, 계룡건설은 2023년 시공능력평가액 2조4천억원으로서 18위에 랭크되어 있다. 계룡건설은 코스피 상장 건설업체로서 창업주 2세인 이승찬 회장이 지분 22.86%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고덕종합건설은 2023년 시공능력평가액 1,257억원으로서 213위에 랭크되어 있는 중견기업이다. 직원수는 67명이다.

참고로 전문건설협회장으로 선출된 윤학수 회장장평건설은 매출 373억원, 사원수 47명이며,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장으로 선출된 조인호 회장해광이앤씨는 매출 645억원, 사원수 60명 수준이다.

차기 협회의 임기 4년은 종합건설업계로서는 매우 중요한 시기가 될 것 같다. 건설업역 폐지와 관련해 전문건설업계 등의 반대입법이 지속될 전망이고, 시공비 상승 관련 이슈도 기업의 존망에 매우 민감한 상황이다. 또, 중대재해처벌법의 대상 확대, 장기계속공사, 표준시장단가, 시설물유지관리업 폐지, 부실공사 방지 등 해결해 나가야 할 많은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

다시말해, 낮게 고정된 적격심사 낙찰 하한율, 중대재해처벌법 50억미만 확대, 건설안전특별법 제정 등으로 회원사가 벼랑 끝에 몰려 있는 현실이다.

특히, ‘종합업체의 전문공사 참여 불허’ 건산법 개정(3년간 4억3천만원 미만 공사 참여 금지)은 지역 중소건설 회원사들의 기업경영이 위기에 내몰리는 절박한 상황이다. 지역 중소건설사 목숨줄이 걸린 4억3천만원 구간(3년 유예)은 대기업 전문경영인에게는 관심이 될수 없는 구조다.

지난 4년간 주택건설업 출신의 회장이 재임하면서, 건설분야 제도개선은 매우 지지부진했다. 반면, 건설협회의 제도와 정책이 매우 감정적이고 편견이 심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따라서 차기 회장으로는 건설정책과 제도관련 지식이 풍부하고, 대외활동에 적극적인 인물이 협회장적합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두 후보의 공약(대한경제 인터뷰, 출마의변 및 공약 참조)을 비교해보면, 나기선 후보는 첫째 공사비 현실화, 둘째 불합리한 제도개선, 셋째 건설인의 명예 회복, 넷째 업역 보호 및 건설물량 확대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공사기간과 공사비 현실화를 위해 오래된 국가계약법령의 입낙찰제도를 전면 개선하겠고, 중대재해처벌법 50억미만 확대, 종합업체의 전문공사 참여 불허 등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나 후보는 회원사 및 정부와 소통하지 않는 독단적이고 제왕적인 현 지도부로 인해 협회는 식물협회가 되었다고 지적하고, 독단적ㆍ제왕적 협회구조 등을 고치겠다는 공약도 제시하고 있다.

한승구 후보의 공약은 건설업계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이익창출’과 ‘권익확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지속적인 시장 확보 노력을 통해 건설물량 창출, 둘째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건설환경 개선, 셋째 건설산업의 유동성 위기 해소, 넷째 건설산업 관련 규제를 과감하게 혁파, 다섯째 건설산업에 만연한 발주자 및 ‘슈퍼을’ 하도급자의 갑질 해소를 제시했다.

△대한건설협회가 입주한 건설회관 전경(야경)/출처=건설공제조합
△대한건설협회가 입주한 건설회관 전경(야경)/출처=건설공제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