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마이건설뉴스-오세원기자]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의원(사진)은 “소득이 낮은 20대~30대에게 부담 가능한 실거주 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초기 구매비용이 1/4인 지분적립형 주택을 분양하고, 공공임대주택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성준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지난 2017년 9월부터 올 10월 19일까지 ‘자금조달 입주계획서’ 38만4000건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에서 3억이상 주택을 구입한 20·30대의 평균 매입가격은 7억3000만원이었다. 이들의 주택 구입비용 중 자기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43%로 금액 환산시 3억1300만원이었다.
서울에서 집을 산 20대는 1만2000명으로 평균 매입가격은 6억1000만원이며, 주택 총매매가에서 자기자금은 평균 2억1000만원(34.9%)이었고, 나머지 65.1%에 해당하는 금액 3억9900만원은 빚을 내 조달했다.
30대 매수자도 비슷한 경향이다. 같은 기간 주택을 매입한 30대는 10만9000명이며, 평균 주택 구입 가격은 8억1000만원이다. 빚은 집값의 56.4%에 달하는 4억2000만원이 빚이고, 나머지 3억2000만원이 자기자본이었다.
이들 20~30대 집주인의 차입금(빚)의 비중(57%)은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도 높은 편이었다. 40대 48.5%, 50대 41.7%, 60대 이상 31.2% 등과 비교해 크게 웃돈다.
금액으로 환산할 경우, 20대의 차입금은 전 연령 평균(3억7000만) 대비 2500만원, 30대는 4500만원 가량이 많다.
반면, 대출이 불가능한 10대 미만과 10대 등 미성년자 집주인 310명의 경우는 자기자금 비중이 각각 54.5%와 64.8%로 높은 편이어서 이들 미성년 주택보유자의 자금출처에 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진성준 의원은 “20대, 30대가 영혼까지 끌어모아 집을 사는 목적의 다수가 갭투기였다는 것을 낮은 본인입주신고율과 높은 차입금 비율에서 짐작할 수 있다”며 “청년들이 집값 상승에 조바심내며 주택을 무리하게 구매할 경우, 대출금 상환에 크게 시달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