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한 기회의 땅…‘인도 건설시장’
상태바
무한한 기회의 땅…‘인도 건설시장’
  • 이태영 기자
  • 승인 2009.03.23 0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식경제부 해외진출기업지원단은 20일 발표한 ‘인도 건설시장 동향 및 진출 확대방안’ 보고서에서 최근 인도정부가 향후 20년간 8%이상의 고도 성장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역대 최고의 인프라 투자 및 구축방안을 담은 경제개발계획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인도 연간 건설시장 규모가 1,000억 달러 이상으로 급격히 확대되고 있어 국내 건설관련 기업들의 “경쟁력 있는 분야의 적절한 진출확대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인도 제11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2007∼2012년)에 따르면 총 투자 9,112억 달러 중 전력·도로등 인프라에 5,140억 달러(56.4%) 투자, 특별경제구역(SEZ)을 통한 투자유치·수출증진 및 고용창출, 고속도로·교량 건설에 외국인 투자지분 100% 허용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기업들은 발전소·고속도로·지하철·특수교량 등 기술력과 시공경험이 풍부한 분야에 주로 진출했으며, 특히 최근에는 글로벌 브랜드를 확보한 초대형 발전소 및 석유화학 플랜트 분야에서 높은 수주실적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인도 건설시장의 진출을 더욱 확대하고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주정부의 역할관계, 규제와 인의 장벽, 복잡한 조세제도, 엔지니어 임금체계, 여론 주도층 등에 대한 철저한 이해 및 치밀한 대응이 필요하며 한국기업들이 기술력·공사경험 및 수익성은 있으나 해당 프로젝트의 시공실적이 부족하거나 원천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는 한국전력공사 등 공기업이나 선진기업과 협력해 수주를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인도가 열악한 전력사정을 단기간에 해소하기 위해 대규모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고, 미국·프랑스·러시아의 원자력발전 관련업체의 활발한 진출이 추진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한국형 원자력발전소’수출 및 한국기업들의 진출 확대를 위한 정부차원의 전략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전력공급량이 도시지역의 경우 79%이고 농촌지역의 경우에는 44%에 불구하며, 산업용 전력의 경우에도 제한송전과 부정기적인 단전 발생으로 자체발전설비를 갖추지 않고서는 정상가동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인도정부의 중점추진 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인센티브 확보, 우리의 도시·산업단지 개발 경험과 현지 건설엔지니어링 센터의 기술인력 활용 극대화를 통한 대규모 국책 프로젝트 등에도 참여 확대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사례1: 인도 송전선 공사의 경우 PQ(Pre-Qualification, 사전적격성) 심사시 시공실적 100∼200km 이상을 요구하나 우리나라 대부분의 업체는 30km정도에 불과하여 대부분 탈락되고 있음⇒관련 공기업과 연계하여 입찰에 참여할 경우 실적 보유업체가 적어 낙찰 받을 가능성이 높고, 양호한 수익도 보장될 것으로 기대됨. #사례2: S사의 글로벌 브랜드, 인도의 다양한 대형 플랜트 건설 경험, 발주기관과의 신뢰성 등을 바탕으로 독일의 원천기술 보유 L사와 합작을 통해 지난해 12월 초대형 에틸렌·프로필렌 플랜트 수주. #사례3: 중앙정부 및 주정부와 직접 협상을 통해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과 더불어 인센티브 확보 ⇒ P사의 제철소 건설 투자 + 철광 등 채굴권 확보 #사례4: 한국토지공사는 인도 진출 기업의 부지확보의 어려움 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구자라트주 Vittal Innovation City 경제특별구역(SEZ) 등에 한국전용 복합 산업단지 건설 추진을 위한 사전 검토 작업을 추진하고 있음. #사례5: 대형 인프라 건설 및 개발형 프로젝트 추진시 설계 인력 등 현지 엔지니어 적극 활용 ⇒ 초대형 발전·석유화학 플랜트·특수 교량·지하철 등의 엔지니어링 경험을 통해 U-city·도심재개발 등 개발형 프로젝트 분야도 수주 확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