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초고령사회 대응 '생활돌봄서비스' 강화

350명 채용 및 교육완료, 7월 중순부터 서비스 본격 제공

2025-07-11     오세원 기자

[오마이건설뉴스]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오는 14일부터 LH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홀몸 어르신을 위한 ‘생활돌봄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생활돌봄 서비스'는 LH 임대주택에 홀로 거주 중인 80세 이상 고령자 세대를 대상으로 △말벗 △건강 상태·안전 점검 △복지 정보 제공·연계 등을 지원하는 주거생활 서비스다.

지난 2022년부터 한국노인인력개발원과 협력해 국민·매입임대주택을 중심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현재까지 약 6,000명의 어르신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다.

올해부터 서비스 제공 범위를 전세임대주택까지 확대하여 주거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나선다.

올해 총 350명의 ‘생활돌보미’를 권역별로 배치하고, 전세임대주택 500여 세대를 포함한 고령자 세대 3,500호를 대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생활돌봄서비스

‘생활돌보미’는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돌보미 활동이 가능한 만 60세 이상의 LH 임대주택 입주민을 우선 선발했다. 돌보미는 돌봄·안전·LH 주택 정보 등 관련 교육 이수를 했으며, 오는 14일부터 연말까지 활동할 계획이다.

이 서비스는 임대주택 내 홀몸 어르신 비율이 높은 수도권과 전북·부산 등에서 운영된다. LH는 향후 운영 성과와 지역별 수요 등을 고려해 서비스 권역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조경숙 LH 주거복지본부장은 “생활돌봄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여 고령자의 자립적 삶과 사회참여를 돕는 통합적 주거 서비스 모델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초고령화로 고령자 돌봄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높아지는 만큼 맞춤형 주거 서비스 제공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수기 사례 = 수원의 한 생활돌보미 A씨는 어르신의 외로움을 덜어드리는 말벗이자 어르신 댁의 안전 상태까지 챙기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주택에 방문할 때마다 가스 밸브는 제대로 잠겨 있는지, 수도와 전기 시설엔 문제가 없는지 점검하는데, 인지 기능이 저하돼 있고 움직임이 불편한 고령의 어르신들에겐 작은 불편함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A씨는 LH 생활돌봄서비스 ‘생활돌보미’ 활동을 통해 어르신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즐겁게 노후를 보내실 수 있도록 도우며 보람을 느낀다.

인천에서 활동 중인 생활돌보미 B씨는 대상자 어르신의 생활 여건을 살펴본 뒤 요양 등급 신청을 도와 장기적으로 재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또한 안전 비상벨 설치, 기초생활수급자 신청 등 다양한 복지제도를 사각지대 없이 활용하실 수 있도록 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