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 로드맵’ 연내 수립

싱크탱크 ‘민관합동 T/F’ 출범

2021-02-09     오세원 기자

[오마이건설뉴스-오세원기자]‘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연내 민관 합동으로 만든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8일 윤성원 국토부 제1차관 주재로 국토교통 탄소중립 민간합동 전담조직(T/F) 1차 회의를 개최해 건물, 수송) 등 국토교통 부문 로드맵 수립과 관련한 일정을 점검하고 추진전략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지난해 12월 7일 공개된 범부처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의 후속 조치이다.

국토부는 혁신적이고 실현 가능성이 높은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기 위해 ▲민관합동 T/F ▲2개의 분과(국토, 교통) ▲실무 작업반 등 3단계 추진체계를 구축했다.

이중, 민관합동 T/F는 국토부, 학계, 연구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구성되어 탄소중립 로드맵의 거시적인 추진방향을 정하고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제안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맡는다.

민간 전문가들은 이날 T/F 회의에서 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이 매우 도전적인 과제임에 공감하면서 각 전문 분야 별로 구체적인 추진전략을 제안하고 해외 사례 등을 소개했다.

건물 부문에서는 국토·도시계획부터 탄소중립 요소를 반영하고, 민간 건축물의 에너지성능 개선을 자발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국가 건물 에너지성능진단 플랫폼 및 탄소배출정보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 등이 제시됐다.

수송 부문에서는 광역철도 등 수요 맞춤형 대중교통시스템, 전기·수소차 전환을 유도하는 실효성 있는 체계 구축, 물류 인프라 전반에 걸쳐 대규모 관련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윤성원 제1차관은 “국토부가 주관하는 건물·수송 부문은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1/3 이상으로 그 비중이 높고, 국민들의 일상과 깊게 연관되어 있어 혁신적인 감축수단 발굴이 필요하다”면서 “건물부터 마을과 도시, 나아가 국토 전체를 아우르고, 상용차부터 철도·항공 등 대중교통까지 탄소중립의 정신을 반영할 수 있도록 민관합동 T/F가 추진과제를 적극 제안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국토부는 민관합동 T/F 및 분과회의 등을 통해 외부전문가의 창의적인 의견을 수렴하고, 관련 연구용역 결과 등을 종합해 연내에 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발표할 계획이다.